A to Z part5
-
천왕보심단 처방의 유래와 효능 그리고 확인시험법A to Z part5 2022. 11. 28. 17:24
천왕보심단은 여러 고전 의서에 수록되어 있는 유명한 처방입니다. 현대에서도 일반의약품으로 발전되어 불면, 불안 등에 유용하게 적응하고 있니다. 동의보감 내경편 권1에 수록된 내용을 발췌해 보았습니다. 寧心保神, 令人不忘, 除怔忡, 定驚悸, 養育心神. 生乾地黃(酒洗) 四兩, 黃連(酒炒) 二兩, 石菖蒲 一兩, 人參ㆍ當歸(酒洗)ㆍ五味子ㆍ天門冬ㆍ麥門冬ㆍ柏子仁ㆍ酸棗仁(炒)ㆍ玄參ㆍ白茯神ㆍ丹參ㆍ䓀莄ㆍ遠志 各五錢. 右爲末, 蜜丸梧子大, 朱砂爲衣, 臨臥, 以燈心, 竹葉煎湯, 呑下三五十丸. 《回春》 심(心)을 편안하게 하고 신(神)을 보전하여 잊어버리지 않게 하며 정충과 경계를 없애고 심신(心神)을 기른다. 생건지황(술로 씻은 것) 4냥,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2냥, 석창포 1냥, 인삼ㆍ당귀(술로 씻은 것)ㆍ오미자ㆍ..
-
식약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농/임산물 목록A to Z part5 2022. 8. 23. 14:22
1.가시연꽃씨앗(검인) 2. 갈대뿌리(노근) 3. 감초 4. 개다래나무열매(목천료) 5. 겐티아나 6. 겨우살이(곡기생) 7. 고량강 8. 고본 9. 구기자 10. 구기자뿌리(지골피) 11. 구절초 12. 국화(감초) 13. 귤나무열매껍질(진피) 14. 금불초(선복화) 15. 금앵자 16. 인동(인동덩굴의 잎, 줄기) 17. 금은화(인동덩굴의 꽃) 18. 꿀풀(하고초) 19. 단삼 20. 당귀 21. 대회향(팔각회향) 22. 도라지(길경) 23. 독활 24. 동과씨(동과자) 25. 두충 26. 띠(모근) 27. 만삼(당삼) 28. 맥문동 29. 모시대(제니) 30. 몰약 31. 무우씨(내복자) 32. 민들레(포공영) 33. 박하 34. 배초향(곽향) 35. 백강잠 36. 백리향(사향초) 37. 백수오 3..
-
코로나19 오미크론 증상 인후통(목구멍 통증)에 구풍해독탕과 은교산을 찾는 이유A to Z part5 2022. 3. 7. 13:36
작년 여름에 작성했던 글들이 최근에 조회수가 급상승했어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로 인해 확진자수가 늘어가고 재택치료하는 사람이 많아졌잖아요. 자가 치료를 위해 약국에 방문해서 인후염, 편도염, 인후통 등의 증상에 맞는 약을 찾다보니 관련 약에 대한 정보를 많이 찾게 된것 같아요. 약국에서도 인후통 관련 한약제제인 구풍해독탕과 은교산이 품귀라고 해요. 1. 구풍해독탕 현재 유통되고 있는 구풍해독탕 일반의약품 제제는 총 7개입니다. 캡슐 : 스토마신캡슐, 헤토마신캡슐, 소렉신캡슐 연조엑스 : 헤토마신연조엑스, 소렉신연조엑스, 신신플루넥연조엑스, 조아구풍해독탕연조엑스 구풍해독탕 성분 : 방풍 형개 강활 우방자 연교 길경 감초 석고 효능효과 : 인후(목구멍)가 부어서 아픈 다음 증상 : 편도염, 편도주위염 ..
-
피부 등에 적용하는 제제(Preparations for Cutaneous Application) 10개 알아보기A to Z part5 2021. 11. 18. 14:31
제 제 총 칙 Ⅰ. 일반사항 가. 제제총칙은 제형의 일반적인 정의, 제법, 저장방법 등을 규정하며, 의약품각조에 실린 제제의 명칭은 제제총칙에 따른 제형, 기능, 투여경로 등을 조합하여 성상 또는 용도에 적합하게 정한다. 나. 제제의 분류는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로 나누고, 대분류는 투여경로․적용부위에 따라 분류하고, 중분류는 대분류의 제제를 형상․제형 및 물리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소분류는 중분류의 제제를 기능, 방출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제제의 분류에서 소분류에 포함되지 않은 제제는 그 제제가 속한 중분류의 제제로 한다. 다. 제조 공정의 밸리데이션 및 적절한 공정관리와 그 기록에 의해 무균성이 항상 보증되는 경우에는 출하시의 시험에 있어서 무균시험을 생략할 수 있다. 라. 보존제를 쓰는 제제..
-
질에 적용하는 제제 Preparations for Vaginal Application 에 대해 알아보기A to Z part5 2021. 11. 18. 10:28
제 제 총 칙 Ⅰ. 일반사항 가. 제제총칙은 제형의 일반적인 정의, 제법, 저장방법 등을 규정하며, 의약품각조에 실린 제제의 명칭은 제제총칙에 따른 제형, 기능, 투여경로 등을 조합하여 성상 또는 용도에 적합하게 정한다. 나. 제제의 분류는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로 나누고, 대분류는 투여경로․적용부위에 따라 분류하고, 중분류는 대분류의 제제를 형상․제형 및 물리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소분류는 중분류의 제제를 기능, 방출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제제의 분류에서 소분류에 포함되지 않은 제제는 그 제제가 속한 중분류의 제제로 한다. 다. 제조 공정의 밸리데이션 및 적절한 공정관리와 그 기록에 의해 무균성이 항상 보증되는 경우에는 출하시의 시험에 있어서 무균시험을 생략할 수 있다. 라. 보존제를 쓰는 제제..
-
직장으로 적용하는 제제 Preparations for Rectal Application - 좌제, 직장용반고형제, 관장제A to Z part5 2021. 11. 18. 09:26
제 제 총 칙 Ⅰ. 일반사항 가. 제제총칙은 제형의 일반적인 정의, 제법, 저장방법 등을 규정하며, 의약품각조에 실린 제제의 명칭은 제제총칙에 따른 제형, 기능, 투여경로 등을 조합하여 성상 또는 용도에 적합하게 정한다. 나. 제제의 분류는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로 나누고, 대분류는 투여경로․적용부위에 따라 분류하고, 중분류는 대분류의 제제를 형상․제형 및 물리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소분류는 중분류의 제제를 기능, 방출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제제의 분류에서 소분류에 포함되지 않은 제제는 그 제제가 속한 중분류의 제제로 한다. 다. 제조 공정의 밸리데이션 및 적절한 공정관리와 그 기록에 의해 무균성이 항상 보증되는 경우에는 출하시의 시험에 있어서 무균시험을 생략할 수 있다. 라. 보존제를 쓰는 제제..
-
코에 적용하는 제제 Preparations for Nasal Application - 점비분말제, 점비액제A to Z part5 2021. 11. 17. 17:24
제 제 총 칙 Ⅰ. 일반사항 가. 제제총칙은 제형의 일반적인 정의, 제법, 저장방법 등을 규정하며, 의약품각조에 실린 제제의 명칭은 제제총칙에 따른 제형, 기능, 투여경로 등을 조합하여 성상 또는 용도에 적합하게 정한다. 나. 제제의 분류는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로 나누고, 대분류는 투여경로․적용부위에 따라 분류하고, 중분류는 대분류의 제제를 형상․제형 및 물리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소분류는 중분류의 제제를 기능, 방출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제제의 분류에서 소분류에 포함되지 않은 제제는 그 제제가 속한 중분류의 제제로 한다. 다. 제조 공정의 밸리데이션 및 적절한 공정관리와 그 기록에 의해 무균성이 항상 보증되는 경우에는 출하시의 시험에 있어서 무균시험을 생략할 수 있다. 라. 보존제를 쓰는 제제..
-
귀에 투여하는 제제(Preparations for Otic Application) 점이제 알아보기A to Z part5 2021. 11. 17. 16:22
제 제 총 칙 Ⅰ. 일반사항 가. 제제총칙은 제형의 일반적인 정의, 제법, 저장방법 등을 규정하며, 의약품각조에 실린 제제의 명칭은 제제총칙에 따른 제형, 기능, 투여경로 등을 조합하여 성상 또는 용도에 적합하게 정한다. 나. 제제의 분류는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로 나누고, 대분류는 투여경로․적용부위에 따라 분류하고, 중분류는 대분류의 제제를 형상․제형 및 물리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소분류는 중분류의 제제를 기능, 방출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제제의 분류에서 소분류에 포함되지 않은 제제는 그 제제가 속한 중분류의 제제로 한다. 다. 제조 공정의 밸리데이션 및 적절한 공정관리와 그 기록에 의해 무균성이 항상 보증되는 경우에는 출하시의 시험에 있어서 무균시험을 생략할 수 있다. 라. 보존제를 쓰는 제제..